click below
click below
Normal Size Small Size show me how
문법 개념 익히기
[EBS 수능특강 국어 A형] 교재의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. 개념을 알아야 문법이 내 것이 된다는 것을 잊지 맙시다.
Question | Answer |
---|---|
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최소 단위 | 음운 |
자음, 모음은 아니지만 장음/단음, 억양, 강세 등 뜻을 구별해 주는 음운 | 비분절 음운 |
발음기관을 막았다가 터뜨려 내는 소리 (ㄱ,ㄲ,ㅋ,ㄷ,ㄸ,ㅌ,ㅂ,ㅃ,ㅍ) | 파열음 |
공기가 발음기관의 좁은 틈을 통과하며 나는 소리 (ㅅ,ㅆ,ㅎ) | 마찰음 |
음절 끝에 오는 자음이 'ㄱ, ㄴ, ㄷ, ㄹ, ㅁ, ㅂ, ㅇ'으로만 발음되는 현상 (예) 앞-->[압], 넋-->[넉] | 음절 끝소리 규칙 |
국물이 [궁물]로 발음되는 현상 | 비음화 |
굳이 --> [구지], 같이-->[가치] | 구개음화 |
어간의 끝이 'ㅡ'로 끝날 때 활용 과정에서 'ㅡ'가 탈락하는 현상 (예) 크+어서-->커서 | 'ㅡ'탈락 |
좋은-->[조:은], 많아서-->[마:나서] | ㅎ탈락 |
맨닙-->[맨닙], 늦여름-->[는녀름] | ㄴ첨가 |
'ㄱ,ㄷ,ㅂ,ㅈ'+'ㅎ'-->[ㅋ,ㅌ,ㅍ,ㅊ] (예) 낳고-->[나:코] | 축약 |
설날-->[설랄], 권력-->[궐력] | 유음화 |
파열음+마찰음 (ㅈ,ㅉ,ㅊ) | 파찰음 |
문장에서 자립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 (예) 하늘, 이, 매우, 푸르다 | 단어 |
일정한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 (예) 하늘, 이, 매우, 푸르, 다 | 형태소 |
구체적인 대상, 동작, 상태를 나타내는 형태소 (예) 하늘, 매우, 푸르 | 실질형태소 |
문법적인 의미만을 나타내는 형태소(접사, 조사, 어미) (예) 이, 다 | 형식형태소 |
실질형태소('먹이'의 '먹-') | 어근 |
형식형태소('먹이'의 '-이') | 접사 |
문장 속에서 몸이 되는 말(명사, 대명사, 수사) | 체언 |
다양한 어미가 붙어서 활용하는 말(동사, 형용사) | 용언 |
활용할 때 변하지 않는 부분 (예) '입다'의 '입-' | 어간 |
활용할 때 뒤에 붙는 다양한 말 (예) '-고', '-(으)면', '-(으)니', '-(으)면서' 등 | 어미 |
하나의 실질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(예) 하늘, 바다, 푸르다 | 단일어 |
복합어(어근+어근) (예) 봄빛, 가을하늘, 높푸르다, 철들다 | 합성어 |
복합어(어근+접사) (예) 엿보다, 햇밤, 어른스럽다, 사랑하다, 덮개, 기쁨 | 파생어 |
단어들을 성질이 공통된 것끼리 모아 갈래를 지어 놓은 것 | 품사 |
체언이나 부사에 붙어서 그 말과 다른 말과의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도와주는 말 | 조사 |
체언 앞에서 체언을 자세히 꾸며주는 말 (예) 온 (세상), 온갖 (물건), 새 (책) | 관형사 |
용언 앞에서 용언을 자세히 꾸며주는 말 (예) 정말 (멋져.), 빨리 (먹어.) | 부사 |
생각이나 감정을 완결된 내용으로 표현하는 기본 단위 | 문장 |
문장 안에서 일정한 기능을 하는 각각의 부분들 | 문장성분 |
문장에서 주어의 동작, 상태, 성질 등을 풀이해 주는 기능을 하는 문장 성분 (예) (나는 그녀와) 헤어졌다. | 서술어 |
서술어가 표현하는 동작의 대상이 되는 문장 성분 (예) (나는) 숙제를 (했다.) | 목적어 |
서술어 '되다, 아니다' 앞에 오는 문장 성분 (예) (나는) 어른이 (아니다.) | 보어 |
체언을 꾸며 주는 문장 성분 (예) (나는) 아름다운 (그녀를 만났다.) | 관형어 |
용언이나 다른 부사어를 꾸며 주는 문장 성분 (예) (나는 원하던) 대학에 (합격했다.), 참 잘 (했어요.) | 부사어 |
서술어가 반드시 필요로 하는 문장 성분의 개수 | 서술어의 자릿수 |
서술어 '삼다, 여기다, 주다, 드리다'의 자릿수 | 세자리 서술어 |
서술어 '먹다, 적합하다, 가다'의 자릿수 | 두자리 서술어 |
주어와 서술어가 한 번 나타나는 문장 (예) 나는 (그녀에게 말을) 걸었다. | 홑문장 |
주어와 서술어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문장 (예) 나는 아름다운 그녀를 만났다. 나는 멋지고, 그녀는 아름답다. | 겹문장 |
홑문장을 자신의 한 문장 성분으로 품고 있는 문장 (예) 나는 착한 그녀가 좋다. | 안은 문장 |
둘 이상의 홑문장이 대등하거나 종속적으로 이어지는 문장 (예)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. 봄이 오면 꽃이 핀다. | 이어진 문장 |
안은 문장 1. (나는) 대학에 붙는 것(을 소망한다.) 그의 말이 거짓이었음(이 드러났다.) (나는) 봄이 오기(를 기다린다.) | 명사절 |
안은 문장 2. (나는) 어제 먹던 (빵을 먹었다.) (나는) 아름다운 그녀(와 사귀었다.) | 관형절 |
안은 문장 3. (비가) 소리 없이 (온다.) 나는 미치도록 (네가 보고 싶다.) | 부사절 |
안은 문장 4. (그녀는) 마음이 착하다. (우리 학교는) 정원이 예쁘다. | 서술절 |
안은 문장 5. 그는 "난 할 수 있어."라고 외쳤다. | 인용절 |
이어진 문장 중, 앞 절을 뒤 절의 중간으로 옮겨도 말이 되는 문장 (예) 비가 와서 길이 질다. |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|
형식은 청유문. 내용은? (예) (주변이 시끄러울 때) 밥 좀 먹읍시다! | 명령문 |
형식은 감탄문. 내용은? (예) (개봉영화 포스터를 보고 애인에게) 어머, 괜찮다! | 청유문 |
말하는 이가 듣는 이를 높이거나 낮추어 말하는 방법 (예) 밥 먹어. 조용히 해 주세요. 여기서는 담배를 피우시면 안 됩니다. | 상대높임법 |
말하는 이보다 서술의 주체가 나이가 많거나 사회적 지위가 높을 때 서술의 주체를 높이는 방법 (예) 할머니께서 저를 꼭 안아 주셨습니다. | 주체높임법 |
목적어나 부사어가 지시하는 대상, 즉 서술의 객체를 높이는 방법. 특수 어휘 '모시다, 드리다, 뵙다, 여쭙다'를 씀. | 객체높임법 |
사건시가 발화시에 앞서는 시제 (예) 어제 그 친구를 우연히 만났어. | 과거시제 |
사건시와 발화시가 일치하는 시제 (예) 나는 지금 옷을 입는다. | 현재시제 |
사건시가 발화시보다 나중인 시제 (예) 내년엔 꼭 내가 원하는 대학에 갈 거야. | 미래시제 |
동사가 가지는 동작의 양태, 특질 따위를 나타내는 문법 범주 | 동작상 |
시간의 흐름 속에서 그 동작이 진행되고 있음을 표현하는 것 (예) 바람이 세게 불고 있다. | 진행상 |
시간의 흐름 속에서 그 동작이 이미 완결되었음을 표현하는 것 (예) 자장면을 다 먹어 버렸다. | 완료상 |
그는 양복을 입고 있다. --> 진행상? 완료상? | 진행상도 되고 완료상도 됨. |
주어가 다른 주체에 의해서 동작을 당하게 되는 것. '-이-,-히-,-리-,-기-', '-되다', '-어지다', '-게 되다' | 피동표현 |
주어가 남에게 동작을 하도록 시키는 것. '-이-,-히-,-리-,-기-,-우-,-구-,-추-', '-시키다', '-게 하다' | 사동표현 |
자신의 의지에 의해 부정이 실현되는 것 (예) 나는 밥을 안 먹었어. 나는 미팅에 나가지 않았어. | 의지부정 |
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다른 사람이나 상황에 의해 부정이 실현되는 것 (예) 폭우 때문에 소풍을 못 갔어. 나는 복숭아를 먹지 못해. | 능력부정 |
단어의 의미 관계 1 (예) 옥수수-강냉이, 동무-친구 | 유의관계 |
단어의 의미 관계 2 (예) 남편-아내, 높다-낮다 | 반의관계 |
단어의 의미 관계 3 (예) 새-참새,제비,매,까마귀,독수리 | 상하관계 |
단어의 의미 관계 4 (예) 몸-머리,팔,몸통,팔,다리 | 부분-전체 관계 |
하나의 단어가 둘 이상의 의미를 가지는 관계 (예) 발 ① 사람이나 동물의 다리 맨 끝 부분 ② 가구 따위의 밑을 받쳐 균형을 잡고 있는, 짧게 도드라진 부분 ③ '걸음'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| 다의관계 |
소리는 같지만 의미적으로 완전히 다른 두 단어가 가지는 관계 (예) 차다1 발로 내어 지르거나 받아 올리다. (예) 공을 차다, 제기를 차다 차다2 물건을 몸의 한 부분에 달아매거나 끼워서 지니다 (예) 기저귀를 찬 아이 | 동음이의 관계 |
의미 변화 1 (예) 얼굴 : 몸 전체 --> 안면(顔面) | 의미축소 |
의미 변화 2 (예) 다리 : 동물의 다리 --> 책상, 침대, 피아노 등 무생물의 다리 포함 | 의미확대 |
의미 변화 3 (예) 어리다 : 어리석다 --> (나이가) 어리다 | 의미 이동 |
중의문 1 (예) 선생님이 보고 싶은 학생이 많다. | 선생님이, 보고 싶은 학생이 많다. 선생님이 보고 싶은, 학생이 많다. |
중의문 2 (예) 그는 영희보다 혜수를 더 사랑한다. | 그는, 영희보다 혜수를 더 사랑한다. 그는 영희보다, 혜수를 더 사랑한다. |
중의문 3 (예) 내가 사랑하는 친구의 동생을 만났다. | 내가 사랑하는, 친구의 동생을 만났다. 내가 사랑하는 친구의, 동생을 만났다. |
중의문 4 (예) 학생이 다 출석하지 않았다. | 일부가 안 왔다. 전부 다 안 왔다. |
우리말의 일반적인 단어 배열법을 따르는 합성어. 명사+명사(산나물), 용언의 관형사형+명사(작은집), 용언의 연결형+용언(들어가다) | 통사적 합성어 |
우리말의 일반적인 단어 배열법을 따르지 않는 합성어. 용언의 어간+명사(늦더위,덮밥), 용언의 어간+용언(검붉다), 부사+명사(척척박사) | 비통사적 합성어 |
피동 표현을 두 번 쓴 경우로, 우리말 어법에 맞지 않는 표현 (예) 그것은 사실로 생각되어진다. | 이중 피동 |
한 단어가 둘 이상의 품사 범주에서 사용되는 것 | 품사의 통용 |
품사의 통용 1 (예) 나도 참을 [만큼] 참았다. 나도 그 사람[만큼] 뛸 수 있다. | 의존 명사 조사 |
품사의 통용 2 (예) 하나를 들으면 [열]을 안다. [열]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. | 수사 관형사 |
품사의 통용 3 (예) 오늘은 달이 매우[밝다]. 벌써 날이 [밝는다] | 형용사 동사 |
2인칭 대명사이기도 하고, 3인칭 '자기'를 아주 높여 이르는 말이기도 한 단어 | 당신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