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lick below
click below
Normal Size Small Size show me how
사미인곡
사미인곡 어휘 풀이
Question | Answer |
---|---|
이 몸 삼기실 제 | 이 몸이 태어날 때 |
님을조차 삼기시니 | 님을 따라 태어나니 |
‘한생 연분(緣分)이며 하늘 모를 일이런가’에서 강조하는 것은? | 천생연분 |
졈어 잇고 | 젊어 있고 |
님 하나 날 괴시니 | 님 오직 날 사랑하시니 |
한데 녜쟈 | 함께 지내자 |
외오 두고 그리는고 | 외따로 두고 그리워하는가 |
광한뎐(廣寒殿) | 옥황상제가 사는 궁전(임금 계신 대궐) |
그 더대 | 그 사이에 |
하계(下界) | 인간 세계(전라남도 창평) |
‘올 저긔 비슨 머리 헛틀언 디 삼 년일쇠’에서 화자가 임과 헤어진 때는? | 삼 년 전 |
이 작품의 화자가 여성이라는 증거 두 가지는? | 연지분(臙脂粉), 홍샹(紅裳) |
눌 위하야 고이 할고 | 누굴 위하여 곱게 할까 |
‘마음의 매친 실음 텹텹(疊疊)이 싸혀 이셔/ 짓느니 한숨이오 디느니 눈믈이라’에서 나타나는 특징은? | 추상적 관념을 구체화하고 있다. |
‘염냥(炎凉)이 때를 아라 가는 듯 고텨 오니’에서 ‘염냥(炎凉)’을 2음절의 다른 말로 바꾸면? | 계절 |
‘창(窓) 밧긔 심근 매화(梅花) 두세 가지 픠여셰라/ 갓득 냉담(冷淡)한데 암향(暗香)은 므사 일고’에서 ‘암향(暗香)’은 무슨 의미인가? | 매화의 그윽한 향기 |
‘황혼(黃昏)의 달이조차 벼마테 빗최니/ 늣기는 듯 반기는 듯 님이신가 아니신가’에서 1. 화자는 무엇을 하려고 했을까? 2. ‘늣기는 듯’을 현대어로 풀이하면? | 1. 잠을 자려고 했다. 2. 흐느껴 우는 듯 |
꼿디고 새닙 나니 녹음(綠陰)이 깔렷난데 | 꽃 지고 새 잎 나니 녹음이 우거졌는데 |
‘나위(羅幃) 적막(寂寞)하고 슈막(繡幕)이 뷔여 잇다’는 화자가 어떻게 지낸다는 얘기? (한자성어로) | 독수공방 |
‘갓득 시름 한데 날은 엇디 기돗던고’는 화자가 어느 계절에 한 얘기? | 여름 |
‘원앙금(鴛鴦錦) 버혀 노코 오색션(五色線) 플텨 내여/ 금자해 견화이셔 님의 옷 지어 내니’에서 ‘원앙금(鴛鴦錦)’의 의미는? | 원앙을 수놓은 비단 |
‘슈품(手品)은 카니와 졔도(制度)도 가잘시고’는 화자가 누구에게 하는 칭찬인가? 이걸 한자성어로 표현하면? | 자기 자신, 자화자찬 |
‘산호슈(珊瑚樹) 지게’, ‘백옥함(白玉函)’, ‘옥누(玉樓)’는 대상을 어떻게 표현한 단어인가? | 미화 |
‘님의게 보내오려 님 겨신 데 바라보니/ 산(山)인가 구름인가 머흐도 머흘시고’에서 ‘산’과 ‘구름’은 ‘화자와 임 사이의 장애물’을 의미한다. 화자와 임의 관계를 군신관계로 본다면, 무엇을 의미할까? (두 개) | 간신, 정적 |
‘니거든 여러 두고 날인가 반기실가’에서 화자가 걱정하는 것은? (두 가지 이상 말하기) | 나를 본 듯 반가워 하실까/ 나를 아직도 사랑하고 계실까 / 옷을 맘에 들어 하실까 / 옷이 안 맞으면 어떡하지? |
‘하루밤 서리 김의 기러기 우러 녈 제’에서 ‘우러 녈 제’를 현대어로 풀이하면? | 울며 날아갈 때 |
‘동산(東山)의 달이 나고 븍극(北極)의 별이 뵈니/ 님이신가 반기니 눈믈이 절로 난다’에서 화자가 달과 북극성을 보며 제일 먼저 한 행동은? | 님을 생각하며 눈물을 흘리고 있다. |
‘쳥광(淸光)을 믜워 내여 봉황누(鳳凰樓)의 븟티고져/ 누(樓) 우헤 거러 두고 팔황(八荒)의 다 비최여/ 심산궁곡(深山窮谷) 졈낫가티 맹그쇼셔’에서 1. 화자가 님에게 보내려고 하는 것은? (현대어로) 2. 그렇게 해서 화자가 님에게 기원하는 것은? 3. 그 단어를 풀이해 봐. | 1. 달과 별의 맑은 빛 2. 선정(善政) 3. 백성들을 두루 보살피는 좋은 정치 |
‘건곤(乾坤)이 폐색(閉塞)하야 백셜(白雪)이 한 비친 제/ 사람은 카니와 날새도 긋처 잇다’에서 화자가 묘사하는 겨울의 분위기는? | 적막함 |
‘쇼상 남반(瀟湘南畔)도 치오미 이러커든/ 옥누 고쳐(玉樓高處)야 더옥 닐러 므삼하리’를 가장 우리말답게, 자연스럽게 풀이하기 | 따뜻한 남쪽도 이렇게 추운데 임금님 계신 한양은 더욱 말해 무엇할까 |
왜 화자는 ‘양츈(陽春)을 부처 내여 님 겨신 데 쏘이고져’라고 했을까? 화자가 걱정하는 내용은? | 추운 곳에 계신 님이 몸이라도 상하지 않았을까 걱정함 |
‘꿈의나 님을 보려 턱 밧고 비겨시니 / 앙금(鴦衾)도 차도 찰샤 이 밤은 언제 샐고’에서 1. 화자는 왜 ‘앙금(鴦衾)’이 차다고 했을까? 2. 화자의 심리를 3음절로 표현하면? 3. 화자처럼 밤새 잠 못 이루고 뒤척이는 것을 의미하는 한자성어는? | 1. 임이 옆에 계시지 않아서(독수공방하고 있어서) 2. 외로움(고독감) 3. 전전반측 |
‘하루도 열두 때 한 달도 셜흔 날’에서 당연한 사실을 언급한 이유는? | 그 시간이 화자에게 길게 느껴질 만큼 화자의 시름이 깊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 |
‘져근덧 생각 마라 이 시름 닛쟈 하니/ 마음의 매쳐 이셔 골슈(骨髓)의 께텨시니/ 편쟉(扁鵲)이 열히 오다 이 병을 엇디하리/ 어와 내 병이야 이 님의 타시로다’에서 1. 화자가 앓고 있는 병은? 2. ‘편쟉(扁鵲)’에 쓰인 수사법은? 3. 그 수사법의 사례를 하나만 들면? | 1. 상사병 2. 대유법 3. 사람이 빵으로만 사는 것은 아니다. |
‘찰하리 싀어디여 범나븨 되오리라/ 곳나모 가지마다 간 데 죡죡 안니다가/ 향 므틴 날애로 님의 오새 올므리라/ 님이야 날인 줄 모르셔도 내 님 조츠려 하노라’에서 1. 화자가 죽은 뒤에 되고자 하는 것으로, 화자의 분신이라 할 수 있는 것은? 2. 왜 그렇게 하려고 하는가? 3. 그러한 화자의 마음을 사자성어로 표현하면? | 1. 범나비 2. 죽어서도 임을 변함없이 사랑하기 위해서 3. 일편단심 |
'이 마음 이 사랑 견줄 데 노여 업다'에서 강조하는 것은 '사랑의 ooo'이다. | 절대성/유일성/영원성 |
'짓나니 한숨이오 디나니 눈믈이라/ 인생은 유한한데 시름도 그지업다'를 보면 화자는 자신의 상태를 어떻게 말하고 있지? 답: oo적으로. | 직설적 |
건듯 | 문득 |
이 작품에서 계절감을 보여주는 소재 네 가지는?(봄부터 겨울까지 순서대로 네 개 다 말해야 정답) | 동풍(東風), 녹음(綠陰), 서리, 백셜(白雪) |
'뎌 매화 것거 내여 님 겨신 데 보내오져'에서 화자가 님에게 전해드리려고 하는 마음은 '님을 향한 oo'이다.(2음절) | 지조/절개 |
여름에 화자가 정성을 담아 하는 일은? | 님의 옷 만들기 |
화자와 임 사이의 물리적 거리가 멀다는 것을 보여주는 단어는?(4음절) | 천리 만리 |
화자가 자신의 감정을 이입하고 있는 자연물은? | 기러기 |
이 작품에서 임금을 상징하는 두 가지는? | 달, 북극의 별(북극성) |
시적 대상이 추상적 관념 혹은 무정물일 때 상상을 통해 그것을 구체적인 사물이나 유정물로 변용하여 표현하는 것을 일컫는 문학용어는? | 주관적 변용 |
'임금 곁을 떠난 충신이 임금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담아 표현한 노래'를 뜻하는 말은?(6음절) | 충신연주지사(충신연군지사) |
본사 1~4의 중심소재를 순서대로 말하면?(순서대로 모두 다 써야 정답) | 매화, 옷, 쳥광(淸光), 양츈(陽春) |